제 6 조 [원고 작성]
|
1. 원고는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('한글' 권장)을 사용하여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
|
2. 글자체는 신명조체, 글자 크기는 10, 줄 간격은 160, 위, 아래, 좌, 우 여백은 20으로 한다.
|
3. 논문의 원고는 각주와 초록을 포함하여 200자 원고지 150매, 비평은 200자 원고지 100매로 한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
|
4. 모든 주는 각주로 처리함을 원칙으로 한다.
|
5. 장, 절 표기(제목표기는) Ⅰ, Ⅱ → 1, 2 → 1), 2) 순으로 한다.
|
6. 모든 인용문(한문 포함)은 논리전개상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번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 원문을 인용문과 병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인용구는 겹따옴표를 사용하고 영문은 괄호에 넣어 제시하되 겹따옴표 안에 넣는다.
|
7. 겹따옴표로 묶인 인용문 안의 인용문은 홑따옴표(' ')로 묶는다.
|
8. 단일어나 단일구절의 인용문은 홑따옴표로 묶을 수 있으며, 인용자에 의해 강조되거나 변형된 인용구는 이탤릭, 고딕 또는 방점으로 처리한다.
|
9. 본문 속에서 지문과 구분되는 긴 인용문은 지문과 앞뒤로 각각 한 줄씩을 띄우고, 왼쪽의 여백을 본문보다 한 칸 들여쓰기를 한다.
|
10. 모든 종류의 인용문은 그 출처를 밝히고 쪽수까지 제시해야 한다. 재인용의 경우 원전과 인용서를 최대한 밝혀야 한다.
|
11. 동일 저자의 책이나 논문이 두 번 이상 인용될 경우 Short Title을 사용한다.
|
12. 동양문헌의 인용은 다음의 원칙과 실례를 준수해야 한다.
|
① 단행본 저서를 인용하는 경우
|
홍길동, 『역사교육의 회고와 전망』 (서울: 광림출판사, 1988), p.352.
|
李明, 『中国历史教育』 (北京: 人民出版社, 2000), p.223.
|
田中眞一郞, 『歷史敎育と現在』 (東京: 靑木書店, 2001), p.52.
|
! 저서의 제목은 반드시 『 』안에 기입해야 한다.
|
② 정기간행물에 게재된 논문의 경우
|
홍길동, 「역사교육의 새 방향」, 『역사교육연구』 1, 1992, p.256.
|
李明, 「历史教科书问题」, 『历史教育研究』 2, 1993, p.32.
|
田中眞一郞, 「学習指導要領と歷史敎育」, 『歴史教育研究』 3, 1994, p.223.
|
! 논문의 제목은 반드시 「 」 안에, 정기간행물의 제목은 『 』 안에 기입한다.
|
③ 편집된 단행본에 게재된 논문의 경우
|
홍길동, 「역사학습의 평가모델」, 김일수 편, 『역사수업의 이해』 (서울: 광림출판사, 1987), p.31.
|
李明, 「历史学习与评价」, 中国社会科学院 編, 『历史课的理解』 (北京: 人民出版社, 2004), p.36.
|
田中眞一郞, 「歴史授業と評価」, 鈴木英寿, 『歷史敎育の諸問題』 (東京: 靑木書店, 2003), p.36.
|
④ 학위 논문의 경우
|
홍길동, 「인지발달과 역사적 사고의 관계」, 김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, 2005, p.31.
|
⑤ 기타의 경우는 관례를 참조하여 우리 실정에 맞게 적용한다.
|
13. 서양문헌의 인용은 다음의 원칙과 실례를 준수해야 한다.
|
① 단행본 저서를 인용하는 경우
|
Frank Ankersmit and Hans Kellner (eds.), A New Philosophy of History (Chicago: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, 1995), pp.24-25.
|
! 단행본의 제목은 반드시 이탤릭체로 작성하거나 밑줄을 그어야 한다.
|
② 번역된 단행본 저서를 인용하는 경우
|
E. H. Carr, What is History (1961), 김택현 옮김, 『역사란 무엇인가』 (서울: 까치, 1997), pp.24-25.
|
! 원서의 제목은 반드시 이탤릭체로 작성하거나 밑줄을 그어야 한다.
|
③ 정기간행물에 게재된 논문의 경우
|
M. B. Booth, "Skills, Concepts, and Attitudes: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 Children's Historical Thinking", History and Theory 22(4), 1983, p.528.
|
! 정기간행물의 제목은 이탤릭체로 작성하고, 논문명은 " " 안에 넣어야 한다.
|
④ 편집된 단행본에 게재된 논문의 경우
|
Louis Mink, "Narrative Form as a Cognitive Instrument", in B. Fay, E. O. Golob, and R. T. Vann (eds.) Historical Understanding (Ithaca: Cornell University Press, 1987), p.344.
|
! 단행본의 제목은 반드시 이탤릭체로 작성하거나 밑줄을 그어야 한다.
|
⑤ Short Title을 사용하는 경우
|
Ankersmit and Kellner (eds.), New Philosophy of History, p.26.
|
Booth, "Skills, Concepts, and Attitudes", p.527.
|
! 단행본의 제목은 반드시 이탤릭체로 작성하거나 밑줄을 그어야 한다.
|
⑥ 기타의 경우는 관례에 따른다.
|
14. 논문의 마지막에 <참고문헌>을 제시한다.
|
① 참고문헌은 필자명을 기준으로 국문, 중문, 일문, 영문 순으로 하여 각각 가나다, 한자의 한국식 발음상 가나다(중문, 일문 포함), 알파벳의 순서에 따라 배열한다.
|
② 동일 저자의 참고문헌이 2개 이상일 경우에는 연도별로 선을 그어 표기한다.
|
③ 참고문헌 작성 방식 예시<단행본>
|
홍길동, 『역사교육의 회고와 전망』 (서울: 광림출판사, 1988).
|
李明, 『中国历史教育』 (北京: 人民出版社, 2000).
|
田中眞一郞, 『歷史敎育と現在』 (東京: 靑木書店, 2001).
|
E. H. Carr, What is History (1961), 김택현 옮김, 『역사란 무엇인가』 (서울: 까치, 1997).
|
Frank Ankersmit and Hans Kellner (eds.), A New Philosophy of History (Chicago: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, 1995).
|
! 서양문헌의 경우 단행본의 제목은 반드시 이탤릭체로 작성하거나 밑줄을 그어야 한다.
|
④ 참고문헌 작성 방식 예시<정기간행물>
|
홍길동, 「역사교육의 새 방향」, 『역사교육연구』 1, 1992.
|
______, 「인지발달과 역사적 사고의 관계」, 김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, 2005.
|
李明, 「历史教科书问题」, 『历史教育研究』 2, 1993.
|
田中眞一郞, 「学習指導要領と歷史敎育」, 『歴史教育研究』 3, 1994.
|
M. B. Booth, "Skills, Concepts, and Attitudes: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 Children's Historical Thinking", History and Theory 22(4), 1983.
|
! 서양문헌의 경우 정기간행물의 제목은 이탤릭체로 작성하고, 논문명은 " " 안에 넣어야 한다.
|
15. 한국어 논문은 국문 초록과 영문(또는 기타 외국어) 초록을 첨부해야 하고, 외국어 논문은 해당 영문(또는 기타 외국어) 초록과 한국어 초록을 첨부해야 한다.
|
16. 모든 논문은 한국어와 영어(또는 기타 외국어)로 4-5개 단어의 주제어를 제시해야 한다.
|
17. 모든 논문은 저자의 연구 이력과 연구 관심 분야 등을 간략히 소개하는 저자소개글을 첨부해야 한다.
|